• 2022. 9. 13.

    by. ON그녀

     

    이 책을 왜 읽게 되었는가?

    정보의 바다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진정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정보를 수집하고 암기하는 것보다는 지식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왔다. 일단 책 제목이 내 관심을 확 끌었다. ‘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을 보고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모든 것을 기억하려고 노력하지 않고도 창의적인 사고를 하게 하는지 알고 싶어서 책을 선정했다. 생각을 하면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는 건가? 내 궁금증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주제였다.

     

    이 책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무엇인가?

    4당신은 자신의 뇌를 모른다’ 이 부분이 강하게 뇌리에 박힌다. 이 챕터에서는 뇌의 위험 징후를 파악하는 방법을 명시하고 있는데 나에게 매우 흥미로운 정보였다. 저자는 몇 가지 질문을 던지고 있는데 나의 삶을 내가 주체적으로 결정하며 살아가는지 알아볼 수 있는 질문들이었다. 가장 흥미로웠던 건 내가 안정적으로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 삶의 주인은 내가 아닐 수도 있다는 내용이었다. 흥미롭기도 했지만 살짝 두렵기도 했다. 사람은 누구나 안정적인 삶을 원하지 않나? 근데 그 삶의 주체가 내가 아니라고 하면 의미 없는 삶이 되지 않나? 이런 반문이 들었다. 근데 그에 대한 부연 설명을 읽으며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살면서 크게 애쓰지 않고 평화롭기만 하다는 것은 뇌의 일정한 회로만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뇌는 회로가 정말 복잡하게 되어 있고 쓸 수 있는 용량이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우리의 뇌에는 아직 사용하지 않은 회로가 정말 많다는 것이다. 뇌의 무궁무진한 용량을 무한대로 활용하여 사용한다면 '내 인생이 달라질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때 새로운 상황을 마주하고 욕구를 과도하게 억제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느낀 점은 무엇인가?

    창조성은 축적해 온 기억과 그 기억들을 사용하려는 의욕의 곱셈이라는 문장이 기억에 남는다. 창조적인 인간이 되려면 그만큼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는 결론이기 때문이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도 갑자기 떠오른다. 창조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건 그동안 쌓아온 기억들과 경험들이기 때문에 저런 말도 생긴 것 같다. 새로운 시대가 온다고 해서 자신이 해오던 것을 버리고 무작정 시대에 따라가려는 자세보다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해 쌓아온 기억을 활용하여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느꼈다. 책에서는 의욕과 자신감도 함께 필요하다는 것을 언급한다. 의욕과 자신감 없이는 뇌의 무궁무진한 용량을 무한대로 활용하기 어려울 것이고 많은 경험을 하려고 노력하지도 않을것이기 때문이다. 4장에서도 읽었듯, 과거의 한 경험을 가지고 더 이상의 변화는 필요없다고 하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안정적이겠지만 자신의 삶을 이끌어가는 힘을 주지는 못한다. 자신감과 의욕을 가지고 자신의 기억과 경험을 적절하게 활용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의욕과 기억의 양립을 추구하며 창조성을 발전시켜야겠다.

     

    이 책을 읽고 내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책을 많이 읽어야겠다고 생각했고 실생활에 반영하려고 노력했다. 독서 챌린지에 가입해서 멤버들과 함께 책을 읽었고 읽고 나서 알게 된 정보들과 기억들을 장기기억으로 남기기 위해서 메모하고 글쓰기를 했다. 생각해내는 힘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책은 아주 적정한 도구인 것이다. 일상에서 자신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생각하는 습관을 제시한다. 많은 종류의 감정과 기억을 연결하여 그 감정을 계기로 소환되는 기억들이 한층 다채로워지게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휴식을 취할 때 뇌도 함께 쉴 것 같지만 아니다. 뇌는 우리가 긴장을 풀 때 기억을 연결하고 정리한다. 멍하게 있는 시간을 갖지 않으면 생각해내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휴식하며 마음을 비우는 시간을 더욱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보다는 창 밖의 자연과 풍경을 관찰하고 생각하는 습관이 필요하겠다고 느꼈다. 물론 바쁜 일상을 살아가면서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의지적으로라도 노력한다면 장기적으로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반응형